티스토리 뷰

식품 안전, ISO 22000 매뉴얼과 절차서로 완벽하게!

 

안녕하세요, 오늘은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구축의 핵심, 바로 매뉴얼과 절차서 작성에 대한 노하우를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식품 안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 ISO 22000 인증은 기업의 신뢰도를 높이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ISO 22000, 왜 중요할까요?
ISO 22000은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품 안전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을 준수하면 HACCP(위험 분석 및 중요 관리점) 원칙에 따라 식품 안전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식품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매뉴얼 작성, 이렇게 시작하세요!
매뉴얼은 회사의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는 핵심 문서입니다. 다음은 매뉴얼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입니다.

  • 경영진의 의지 표명: 식품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경영진의 확고한 의지를 서론에 명확히 기술해야 합니다.
  • 조직 구조 및 책임 명확화: 각 부서별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정의하고, 식품 안전 관련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상세히 기술해야 합니다.
  • HACCP 원칙 기반 위험 분석: 식품 안전 위험을 식별하고, 각 위험에 대한 관리 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원재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오염 위험을 분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 방안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문서 관리 및 기록 유지: 모든 문서의 최신 버전을 유지하고, 필요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절차를 포함해야 합니다.

 


절차서 작성, 실전 노하우
절차서는 특정 작업이나 활동을 수행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한 문서입니다. 다음은 효과적인 절차서 작성 방법입니다.

작업 목적 및 범위 명확화: 각 절차서의 목적과 적용 범위를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원재료 입고 검사 절차서"는 원재료 입고 시 검사 방법과 기준을 명확히 기술해야 합니다.

  • 단계별 작업 지침 제공: 작업을 수행하는 각 단계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필요한 장비, 도구, 안전 수칙 등을 포함해야 합니다.
  • 책임자 지정: 각 단계별 작업 책임자를 명확히 지정하여,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시각 자료 활용: 흐름도, 체크리스트, 사진 등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절차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검토 및 업데이트: 절차서의 유효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예시:

원재료 입고 검사 절차서:

  • 검사 담당자는 입고되는 원재료의 품명, 수량, 유통기한 등을 확인한다.
  • 샘플을 채취하여 외관, 냄새, 색상 등을 검사한다.
  • 필요한 경우, 미생물 검사, 잔류농약 검사 등을 실시한다.
  • 검사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합격 판정을 내리고 입고를 승인한다.
  • 검사 결과를 기록하고, 관련 문서를 보관한다.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매뉴얼과 절차서는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매뉴얼 절차서 다운로드

 

본문서는 ISO(FSSC)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메뉴얼, 절차서, 기록물이 포함되어 있는 자료 입니다.

회사에 맞게끔 수정하셔서 쓰시면 됩니다. 
인증을 준비하는 업체 및 식품 안전 품질 경영을 원하시는 업체는 해당 자료를 활용하여 조직내 시스템에 적용 시킬 수 있습니다.

매뉴얼 및 절차서
0. ISO 22000 매뉴얼
1. ISO 22000 절차서 (지침 - 규정 프로세스등)
401 조직상황파악 관리 절차서
501 식품안전 방침 및 목표 관리절차서
601 리스크 관리 절차서
602 법규관리 절차서
603 변경관리 절차서
701 교육훈련 절차서
702 지식정보 관리 절차서
703 의사소통관리 절차서
704 문서화된정보 관리 절차서
705 기록관리 절차서
706 시스템 관리 절차서
707 유틸리티 관리 절차서
708 적격성 평가 절차서
801 계약검토 절차서
802 고객불만처리 절차서
803 구매(원료)관리절차서
804 제조공정관리 절차서
805 식별 및 추적성 관리 절차서
806 제품회수관리 절차서
807 비상사태 관리절차서
808 제품설계 개발 절차서
809 보관 및 운송 취급 절차서
810 협력업체 관리 절차서
811 알레르기 관리 절차서
812 환경모니터링 관리 절차서
813 제조설비 시설 세척, 소독 절차서
814 제조설비 관리 절차서
815 폐기물 및 유독물질 관리 절차서
816 포장재 디자인 및 개발 절차서
817 방풍방서 관리 절차서
818 식품방어 위협평가 관리 절자서
819 식품사기 쥐약성 관리 절차서
820 제품 라벨링 관리 절차서
821 로고 사용 관리 절자서
822 이불 관리 절차서
823 유리 및 플라스닉 쥐급 관리 절차서
824 검교정 관리 절차서
901 모니터링 및 측정관리 절차서
902 내부심사 절차서
903 경영검토 절차서
1001 부적합 관리 절차서
1002 시정 및 예방조치 절차서
1003 지속적 개선 관리 절차서

2. 절차서에 따른 기록물 문서 양식
401-01 이해관계자 요구사항과 기대 이해 파악
401-02 조직상황 분석 (SWOT 분석)
401-03 조직상황 조사보고서
501-01 경영방침 추진계획서
501-02 경영방침 추진실적보고서
601-01 경영 리스크 및 기회 평가 계획서
601-02 경영 리스크 및 기회 조치 계획서
601-03 경영리스크 분석 관리 대장
601-04 경영리스크 모니터링 관리 대장
602-01 법규등록대장
603-01 변경관리 체크리스트
701-01 교육 훈련 계획서
701-02 외부교육 보고서
701-03 교육 일지
701-04 자격관리 대장
702-01 지식 정보 제안서
702-02 지식 정보 접수 관리 대장
704-01 문서 (제정, 개정, 폐지) 신청서
704-02 문서 등록 대장
704-03 문서 배포 대장
704-04 문서발송 (접수) 대장
705-01 문서 및 기록 (이관, 보관, 폐기) 관리대장
707-01 유틸리티 관리 대장
708-01 자격인정서
708-02 자격인정 관리대장
801-01 계약 검토서
802-01 고객 불만 접수 대장
802-02 고객불만처리 결과 통보서
803-01 자재 청구서
803-02 구매발주 (품의)서
804-01 제조공정 관리 일지
805-01 원부재료 입고 검사 일지
805-02 입고검사일지 (포장자)
806-01 회수 공표문
806-02 회수 계획서
806-03 회수 결과보고서
807-01 비상연락망
807-02 비상상황 대응 보고서
809-01 원료 보관 창고 점검표
809-02 제품 보관 창고 점검표
809-03 운송차량 위생 점검표
810-01 협력업체 관리대장
810-02 협력업체 관리 평가표
812-01 병원성미생물 샘플링 계획서
812-02 병원성미생물 분석결과
813-01 제조설비 세척소독 관리기준 양식
814-01 제조설비 이력카드
814-02 제조설비 유지보수 계획표
814-03 제조설비 유지 보수 점검표
814-04 예방정비 기록부
815-01 폐기물 관리대장
815-02 포장지 파괴 기록대장
815-03 유독성 물질 관리대장
816-01 포장재 재질 및 디자인
816-02 포장재 재질 및 디자인 변경의뢰
816-03 포장재 재질 및 디자인 개발 완료보고서
817-01 방충방서 점검표
818-01 식품 방어 체크리스트
819-01 식품사기 평가 체크리스트
822-01 이물 관리 점검표
823-01 유리 및 플라스틱 점검표
823-02 유리 및 플라스틱 관리대장
824-01 사내 검교정 계획서
824-02 시험설비(계측기) 관리대장
824-03 시험설비(계측기) 이력카드
902-01 내부심사 계획서
902-02 내부심사 결과 보고서
903-01 경영 검토서
1001-01 부적합 발생 보고서 관리 대장
1001-02 부적합품 처리 보고서
1002-01 시정조치 요구서
1002-02 시정조치 요구서 관리 대장

 파일내 예시를 보시고 회사에 맞게 적절히 변형, 추가, 삭제 하여 사용 하시면 됩니다.

 

 

최근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ISO 22000 인증을 받은 기업의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정부는 식품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해 HACCP 의무 적용 대상을 확대하고 있으며, ISO 22000 인증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결론: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ISO 22000 인증은 식품 안전을 위한 투자인 동시에,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입니다. 지금 바로 ISO 22000 매뉴얼 및 절차서 작성에 착수하여,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고 소비자 신뢰를 얻으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ISO인증은 아이티씨패스(ITC-PASS)인증원
전화: 055-285-0658  홈페이지: http://www.itc-pass.co.kr

ISO심사원 CompEx EEHA HVS 교육은 한국국제품질학교
전화: 055-267-2702  홈페이지: http://www.kiq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