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품질 경영 시스템 인증은 현대 기업 운영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인증은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ISO 9000 품질 경영 시스템 인증의 역사와 중요성, 그리고 그 운영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인증 제도의 개요
제품 품질 인증은 오래전부터 시행되어 왔습니다. 초기에는 귀금속이나 보석의 감정과 같은 특정 분야에서 전문가의 능력에 의존하여 품질을 인정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하면서 기계화와 대량 생산 체제로 전환되고,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사용자들이 제품의 품질을 쉽게 판별하기 어려워졌습니다. 따라서, 공산품의 안전과 위생 상태, 규격과 기준의 합치성 등을 확인하기 위한 제품 인증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단순히 제품의 규격과 기준만으로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신뢰감을 줄 수 없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기업의 품질 경영 시스템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제도가 발전했습니다. 이는 제품의 공정별 검사와 심사를 통해 품질을 보증하며, 서비스의 품질까지 인증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국제적 여건의 변화와 무역 형태의 다양화는 국경을 초월한 상품 및 서비스의 교환을 촉진시키고, 생산자들이 소비자가 요구하는 기준을 충족시키는지 보증하기 위한 인증 및 적합성 평가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2. 품질 경영 시스템 운영에 대한 인증 제도
초기에는 공산품의 품질을 보증하는 데 집중했지만, 점차적으로 품질을 만들어내는 전 과정, 즉 시스템에 대한 품질을 보증하는 쪽으로 발전했습니다. 이는 제품 구입자가 다수의 공급자를 직접 심사하는 대신, 제3자가 일정한 기준에 따라 심사하고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의 필요성 때문입니다. 단발적인 인증 제도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규정된 주기의 사후 심사 및 갱신 심사를 통해 신뢰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러한 제도가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인증 기관을 인정하고 감시하는 '인정 제도', 품질 심사를 실시하고 인증을 부여하는 '인증 기관 제도', 심사원을 교육하고 관리하는 '심사원 교육 제도' 등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합니다.
3. 품질 경영 시스템 인증 제도의 발전 경과
- 1963년: MIL-Q-9858 A 품질 시스템 표준 개정
- 1979년: 영국표준협회(BSI)에서 BS 5750 제정 운영
- 1980년: ISO/TC 176 설치
- 1986년: ISO 8402 제정
- 1987년: ISO 9000 시리즈 국제 표준 제정
- 1992년: KS A 9000 시리즈 제정
- 1993년: 공산품 품질 관리법을 품질 경영 및 공산품 안전 관리법으로 전환, ISO 9000 인증 제도 도입
- 1994년: ISO 9000 패밀리로 국제 표준 개정
- 1995년: KS A 9000 패밀리로 개정
- 1997년: 민간 주도 인증 제도 실시(한국인정원)
- 1998년: KS A 9000 패밀리 개정
- 2000년: ISO 9000 패밀리 국제 표준 개정
- 2001년: KS A 9000 패밀리 개정
- 2002년: ISO 19011 국제 표준 제정
- 2005년: ISO 9000 국제 표준 개정
- 2007년: KS A ISO 9000 표준 개정
- 2008년: ISO 9001 국제 표준 개정
- 2009년: KS Q ISO 9001 표준 개정
- 2011년: ISO 19011 국제 표준 개정
- 2013년: KS Q ISO 19011 국가 표준 개정
- 2015년: KS Q ISO 9001 국제 표준 개정
'품질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27001 정보보안경영시스템 영문 매뉴얼 및 절차서 작성 방법 (0) | 2025.04.09 |
---|---|
ISO 13485 의료기기 품질경영시스템 매뉴얼 및 절차서 작성 가이드 (0) | 2025.04.03 |
1-2. ISO 표준에 따른 품질 경영 시스템의 주요 원칙 이해 및 구현 (0) | 2024.08.02 |
1-1-2.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추진 계획과 조직 구성 및 교육 (0) | 2024.08.01 |
1-1 품질 경영 시스템 인증 제도 (0) | 2024.07.31 |